본문 바로가기

Photo Pajang585

제48회 광주일보 3·1절 전국마라톤대회(4) 2013. 3. 2.
You raise me up - 당신이 나를 일으켜 주시기에 Westlife - You raise me up박정현 - You raise me up You raise me up When l am down and, oh my soul, so weary내 영혼이 힘들고 지칠 때When troubles come and괴로움이 밀려와My heart burdened be나의 마음을 무겁게 할 때Then, l am still and wait here in the silence나는 여기에서 고요히 당신을 기다립니다Until you come and sit awhile with me당신이 내 옆에 와 앉을 때까지 You raise me up당신이 나를 일으켜 주시기에So l can stand on the mountains나는 산에 우뚝 서 있을 수 있고You raise me up당.. 2013. 2. 25.
가야금병창 금의소리 - Fell 가야금병창 금의소리취선의 금의소리 정기연주회 [fell] - 판소리 다섯마당과 25현 퓨전음악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이수자 황승옥님이 제자들과 함께 만드는 '취선의 금의소리 정기연주회 [fell] 모습 입니다. Photo by 파장 2013. 2. 22.
빛의 도시 광주 야경 The City of Light Gwangju 광주문화관광 사진공모전 광주는 빛의 고을입니다. 광주라는 명칭은 고려태조 23년(940)에 처음으로 쓰여졌지만 그 연유는 아는바 없고, 다만 고려말의 대석학자인 목은 이색이 「석서정기」에서 "光之州"라고 하여 빛의 고을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빛은 곧 광명입니다. 이 광명이념은 우리 민족의 고유신앙이요, 원래의 정신이며 기본 철학입니다. 광주는 태양의 도시이며 광명의 도시요, 빛의 고을입니다. 조상대대로 태양을 바라보며 광명을 향하여 오늘까지 살아 온 것입니다. 그러한 정신은 지난날 민족이 어려움에 봉착했을 적마다 꿋꿋하게 이겨냈던 원동력이었으며 빛나는 역사의 주체적인 힘이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빛고을 사회 전반에 걸쳐 민족혼의 상징으로서 전통처럼 면면히 계승.. 2013. 2. 20.
무등산의 겨울 무등산의 겨울 무등산 사진 공모전 입상작품 광주의 성산 무등산은 광주의 삶과 역사를 가장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는 증언자이며 그 역사를 말없이 끌어안고 있는 어머니입니다.광주사람들은 무등산을 보며 자라고 무등산을 향해 기도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동구, 북구, 전라남도 담양군과 화순군에 걸쳐 있으며 정상인 천왕봉이 1,187m 이고, 현재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면적은 30.23㎢ 입니다. 무등산의 겨울은 소리가 사라진 하얀 설원, 무등산의 겨울은 끝없이 깊어지기만 합니다. 입석대와 서석대의 주상절리대는 7,000만 년전에 형성된 것으로 지질학으로 학술적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사진은 지난 해 무등산 사진 공모전 입상 작품들로 무등산의 설경을 아름답.. 2013. 2. 19.
예친 연희단 - 설맞이 우리국악이야기 예친 연희단 '설맞이 우리국악이야기'광주 · 서구 빛고을국악전수관 '목요열린국악한마당' 예친 연희단(예술감독 김해진)초청 설맞이 우리국악이야기 공연모습입니다. Photo by 파장 2013. 2. 17.
Diana Debord – Fine Art Photography Diana Debord - Fine Art Photography 다이아나 디보드는 1984년에 태어난 뛰어난 미술 사진작가로, 이탈리아 노바라에서 두마리의 암컷 고양이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그녀는 꿈이나 악몽, 영감을 그리고, 몽환적인 분위기의 퇴폐적인 로맨스티즘을 합해서 그림과 책으로 이미지 만들고 있습니다. 그녀는 어두움의 터치와 함께 환상적인 경치에 미묘한 여성을 보여주는 자기초상화와 함께 작업합니다.2012년 3월 그녀의 자기 초상화를 보여주는 그녀의 첫번째 책 "정신꿈"을 출판했다. 그녀는 현재 그녀가 가장 좋아하는 작가 애드거앨런포의 작품을 기반으로 프로젝트 "포우의 비전"에 노력하고있습니다. Website: www.dianadebord.com Email: info@debored.it Fac.. 2013. 2. 17.
Powder Dance by Geraldine Lamanna Powder Dance by Geraldine Lamanna독일의 사진가 Geraldine Lamanna는 댄서들이 춤을 출 때 하얀색 가루가 공중에서 흩어지는 모습들을 순간 촬영했습니다. 그는 “Rolling in the deep” Adele’s시리즈 영상에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Photo by Geraldine Lamanna 2013. 2. 16.
설맞이 우리국악이야기 "거시기 · 머시기 " 빛고을국악전수관설맞이 우리국악이야기 ‘거시기, 머시기’ 봄의 기운이 바짝 다가섰음을 느낄 수 있는 하루였던 2월14일(목) 저녁7시, 광주서구 빛고을 국악전수관 ‘목요열린국악한마당’ 무대에는 예친 연희단(예술감독 김해신) 초청 설맞이 우리국악이야기 ‘거시기 머시기’가 펼쳐졌습니다. 이번 무대에는 우리나라 전통춤(산조춤, 도살풀이춤)과 판소리, 대금산조, 사물놀이 등 다양한 장르의 국악공연이 무대에 올려졌습니다. 특히 여수한밭무용단을 초청해 좀처럼 보기 어려운 우리전통 춤인 산조춤과, 도살풀이 춤이 펼쳐저 관객들의 아낌없는 박수를 받기도 했습니다. 비나리 - 사물놀이(쇠 정영율, 징 김동규, 태평소 김연옥, 장구 이은영, 북 김유찬, 인현우) 산조춤 - 여수 한밭무용단(대표 최덕자외 10명) 판소리 - 소.. 2013. 2. 15.
얀 샤우덱 사진전 - 로맨시즘과 에로시즘 사이 얀 샤우덱 사진전 로맨시즘과 에로시즘 사이 광주 유스퀘어 금호갤러리2012. 1. 19 - 2. 24 얀 샤우텍의 작품세계얀 샤우텍은 사진 작업의 방향을 결정한 하나의 운명적인 요소는, 유태인의 아들로 근대사의 격동기에서 피지배국이었던 체코슬로바키아의 수도 프라하에서 출생하고 성장했다는 점이다. 때문에 그의 사진은 음울하고 흑백사진과 컬러사진 모두 불안한 분위기를 담고 있다. 그가 전하고자 하는 사연은 사랑,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 육체, 죽음, 인간의 욕망 등 형이상학적 인간관계 전반을 포함한다. 인간의 육체에 관심을 두던 그는 처음 모델은 주로 헤어진 가족들이었다. 모델이 누가 되든 그의 사진 작품들은 거의 누드사진이다. 왜냐하면 옷을 입은 인물을 사진에 담는 것은 마치 섬유껍질에 둘러싸인 나무를 촬.. 2013. 2. 14.
한국 사진계의 거목 최민식 선생의 영면과 명복을 빌며 가난한 사람들의 사진, 가난했기때문만은 아니겠지요한국 사진계의 거목 최민신 선생 영면과 명복을 빌며 한국 다큐멘터리 사진 1세대를 대표하는 사진가 중 한 명인 최민식 작가가 향년 85세를 끝으로 지난 12일 별세했다. 이 땅의 소외된 사람, 사회적 약자들을 누구보다 연민하고 사랑했던 사진계의 거목 최민식 선생님, 그를 존경했던 독자이자 사진 애호가의 한 사람으로 애달픈 심정으로 삼가 조의를 표한다.(빈소는 부산 용호동 성모병원. 발인은 2월 15일). 고인은 1928년 황해도 연백에서 출생, 소작농으로 일하는 아버지 밑에서 지독한 가난을 겪으며 자랐다. 가톨릭 신자인 아버지는 가톨릭 성인 이야기를 많이 해주셨고 초등학교 때 그림을 그리곤 하던 그에게 "밀레처럼 농민을 그려라", "돈 벌면 가난한 사람을 .. 2013. 2. 13.
명상의 글 - 사람들은 자기 집들에 나무를 심고 사람들은 자기 집들에 나무를 심고 열심히 가꾸려 애쓰지만 자기 일생을 인(仁)과 의(義)로 가꾸는 데에는 너무도 인색 하구나. 가난함에 근심걱정 하지 말고 부지런히 정진하라. 그리하면 그것이 곧 마음의 부자요, 진정한 부자인 것을 사람들은 왜! 모르고 있는가? 먹고 사는 일에만 급급할 뿐 마음의 수양을 돌보지 않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반성 못하고 중요한 것을 선택하지 못하는 자이다. 재물이 쌓여 부자가 된다 하여도 기뻐하며 자랑 말라. 재물은 변해도 마음은 가난할 때나 부자일 때나 같은 것, 항상 그리 했던 것 처럼 처신하라. 그러면 많은 사람들에게 찬사를 받을 것이오, 그렇게 하지 않으면 뜨거운 눈총을 받게 된다는 것을 왜! 알지 못하는가? 값비싼 예물에 중요시 하지 말라. 그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보.. 2013. 2. 13.
명상의 글 - 사람의 도리 명상의 글 - 사람의 도리 사람들아! 불행의 원인을 남에게 찾지 말고 자신의 하찮음을 남에게 돌리려 하지 마라. 만약 자신의 하찮음을 남에게 돌리려 한다면, 그것은 자신의 비겁함을 인정하는 것이다 준비를 게을리하여 지혜롭게 대처할 준비도 되어있지도 않으면서 자신의 힘 하나만 믿고 싸움에 나간들 어찌 싸움에 승리할 수 있으랴! 사람들아! 제 아무리 황소를 때려눕일 힘과 용기가 있다 할 지라도, 자신의 힘과 용기만 을 믿지 말고 사전에 준비하는 자세를 잃지 마라. 그것만이 마지막 승리자가 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인 것이다. 사람들아! 진실은 취하되 거짓은 버리고, 허실은 가리되 진실을 긍정하라. 사람들아! 낮에는 동서남북으로 일을 벌리고 밤에는 내일을 궁리하고 계산하여 준비하라. 사람들아! 주어진 자기 인생.. 2013. 2. 12.
풍물세상" 굿패 마루" 풍물세상 "굿패 마루" 우리 삶의 "희·노·애·락" 을 원시적 본능의 소리인 풍물소리에 싣고 밥과도 같은 풍요로움을 담은 축제의 공간을 만들어가는 곳 입니다. 타악기가 가질 수 있는 역동성으로 흥과 신명의 문화공동체를 실현하고자 설립된 단체입니다. Photo by - 이진기 jingi1967@gmail.com 2013. 2. 11.
1970년대 광주·남구 칠석마을 고싸움놀이 1970년대 광주칠석 고싸움놀이사진은 광주광역시 남구 칠석마을의 1970년대로 추정되는 고싸움놀이, 당산굿, 세시풍속 당시 모습입니다. 칠석동 고싸움놀이는 쌀농사 중심의 전라남도에서 널리 행해졌던 줄다리기에서 그 원형을 찾을 수 있는 정월 세시 민속놀이입니다. 삼한시대부터 조선시개 말까지 천오백년 이상 칠석마을에서 면면히 이어여 오다, 1910년 일제 강점기때 민족문화 말살정책으로 금기 되었고, 당시 궁핍한 농촌경제 사정으로 점차 자취을 감추었습니다. 그러다가 1969년 발굴 재현하여 그 해 200여 마을 주민들이 참여한 제1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하였고, 1970년대에 우리나라 중요무형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어 보존 · 계승되고 있습니다. 고싸움놀이는 가장 남성적인 남도민의.. 2013. 2. 10.